티스토리 뷰
박상표 평전
부조리에 대항한 시민과학자
임은경 지음
304쪽 | 18,000원 | 신국변형판(140*210) | 양장
ISBN 979-11-955265-2-9 | 2016년 1월 19일 펴냄
교보문고 | 예스24 | 인터파크 | 알라딘 | 반디앤루니스 | 영풍문고
인간과 학문을 사랑하고
부조리에 맞서며 더 정의로운 세상을 열망한
‘유기적 지식인’ 박상표의 일생
프레시안 : 시민 과학자 박상표, 우리는 그에게 빚을 졌다
머니투데이 : 진실을 지키다 간 시민 과학자의 고귀한 삶, ‘박상표 평전’
데일리벳 : 故박상표 수의사 평전 출판,1월 17일 2주기 기념식 개최
부산일보: '국민의 건강권·알권리' 전도사
CBS 노컷뉴스: '촛불 의인' 수의사 박상표의 삶을 비추다
한겨레: 1월 15일 교양 새책
경향신문: [새 책]우리, 독립책방 外
박상표는……1969년 전라남도 여수에서 태어났으며 순천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서울대학교 수의학과에 입학했다. 문학 동아리 ‘반도문학회’에서 활동하며 학생운동에 참여했고, 인천에서 노동운동에 뛰어들기도 했다. 한편 문화유산 답사에 깊은 관심과 열정을 가져서 답사가나 안내자로 전국 곳곳을 다녔는데, 항상 사전에 충실한 자료집을 준비하고 답사지에 숨겨진 이면의 역사와 사실까지 탐구하는 학자의 자세로 임했다. 그래서 나중에 전문가 수준의 역사 칼럼과 책을 쓰기도 했다.
대학 졸업 후 수의사 생활을 하면서도 문화유산 답사를 하며 경실련과 참여연대에서 활동했는데, 이를 계기로 평화와 통일 문제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며 사회운동가로서의 영역을 넓혀갔다. 2005년에는 ‘국민 건강을 위한 수의사 연대’에 합류했는데, 이듬해 초부터 들끓기 시작한 미국산 쇠고기 수입 관련 한미 FTA 정국에서 정부와 주류 전문가들의 주장에 맞서 일반 시민의 권익을 대변하는 ‘시민과학자’이자 ‘대항 전문가’로서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2008년 촛불 시위를 이끈 이후 2014년 홀연히 세상을 떠나기 전까지 사회의 부조리에 맞서 진실을 밝히고 정의를 외치는 일을 중단하지 않았다.
저서로 『고적 답사 이야기』(1996, 공저), 『한미 FTA는 우리의 미래가 아닙니다』(2007, 공저), 『조선의 과학기술』(2008), 『아! 대한민국, 저들의 공화국』(2008, 공저), 『불확실한 세상』(2010, 공저), 『가축이 행복해야 인간이 건강하다』(2012)가 있고, 번역서로 『빨리요, 송아지가 나오려고 해요』(2012, 아내 조미숙과 공역)가 있다.
■ 주요 서평
그는 처음부터, 이명박 정부가 미국에서 광우병이 발생해도 쇠고기 수입을 금지할 수 없도록 졸속 합의해 준 2008년의 촛불 저항에서 선두에 섰었다. 사람들은 그를 “촛불 의인”이라고 불렀다. 결국 이명박 정부는 촛불에 쫓겨 한반도 대운하 포기를 선언했다. 그는 세상을 떠났다. 그는 이명박 정부의 한반도 대운하 망상을 촛불 시민과 함께 막고 떠났다. 나는 이 평전에서 그가 마지막으로 내게 전한 법치주의에 대한 열망을 그를 대신해서 전하고 싶다. 송기호(변호사, 「추천의 글」 중에서)
박상표 국장은 앞으로 오랫동안 기억될 것이다. 그는 한국에서 주류 전문가에 맞서 시민의 이익을 옹호한 대항 전문가의 한 전범을 보여줬다. 한국 사회에서 대항 전문가로 나설 용기를 내는 후배에게 박 국장은 끊임없는 영감의 원천이 될 것이다. 강양구(기자, 「추모의 글」 중에서)
■ 지은이 임은경
서울대학교 농대를 졸업한 후 대다수 사람들을 무의식적인 소비의 노예로 만드는 산업화된 시스템에 문제의식을 가지고 활동하며 글을 써 왔다. 인터넷 신문 《민중의소리》 기자, 월간지 《말》 국제부장, 주간지 《농정신문》 객원기자, 대구MBC 라디오 「여론현장」 객원기자, (사)슬로푸드문화원 국제협력팀장으로 일했으며, 현재 계간지 《선구자》(김상진기념사업회 발행) 편집장 및 취재 기자로 활동하고 있다.
■ 차례
추천의 글
머리말
프롤로그
1장. 여수(麗水)에서 만난 여수(麗豎)
2장. 대학 시절, 내 이름은 ‘레테르’
3장. 실천하는 지식인
4장. 문화유산 답사에 심취하다
5장. 더불어 함께
6장. 타고난 학구파
7장. 국민 건강을 위한 수의사
8장. 손목을 비트는 골리앗에 맞선 다윗
9장. 친미 정권, 불평등한 거래를 받아들이다
10장. 부조리에 대한 분노
11장. 성실한 가장, 그러나 늘 자유를 꿈꾸던
12장. 대항 전문가 혹은 유기적 지식인
추모의 글
- 참말인지 거짓말인지 어떻게 알아요? : 아무도 상처 받⋯
- 어떻게 못됐으면서 착해요? : 아무도 상처 받지 않는 ⋯
- 미국 정원의 발견: 우리가 몰랐던 미국 대륙의 아름답고⋯
- 수술, 마지막 선택 : 외과의사가 직접 들려주는 수술의⋯
- 호모 사피엔스 : 인류는 어떻게 진화하고 공존하는가?
- 담장 위의 판사 : 법과 인간 사이에서 흔들리는 마음
- 프로파간다 : 대중 심리를 조종하는 선전 전략
- 작가 수업 : 리디자인 개정 특별판
- 몰리 뱅의 그림 수업 : 마음을 움직이는 그림의 원리
- 위험한 제약회사 : 거대 제약회사들의 살인적인 조직범죄
- 프로파간다 파워: 인간과 세상을 조종하는 선전의 힘
- 동물은 인간에게 무엇인가 :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통찰⋯
- 사티리콘 : 노먼 린지 일러스트판 : 로마인이 쓴 로마⋯
- 메이요 평전: 세계 최고의 병원 메이요 클리닉을 일군 ⋯
- 배드 사이언스 : 우리를 속이고 주머니를 털어가는 그들⋯
- 역사 사용설명서 : 인간은 역사를 어떻게 이용하고 악용⋯
- 전쟁은 사기다 : 반전주의자가 된 전쟁 영웅 스메들리 ⋯
- 행복해지는 가장 간단한 방법 : 헬렌 켈러의 희망과 긍⋯
- 하늘을 디디고 땅을 우러르며 : 어느 천문학자의 지상 ⋯
- 작가살이 : 퓰리처상 수상 작가 애니 딜러드의 글 쓰는⋯
- 미술로 키워라 : 아이의 마음과 창의력을 키워주는 심리⋯
- 적당히 건강하라 : 약과 건강검진에서 벗어나 행복한 노⋯
- 깨어나 네 삶을 펼쳐라 : 잠재된 꿈과 능력을 실현하는⋯
- 덜 소중한 삶은 없다 : 방황하는 영혼들을 치유하는 끝⋯
- 박상표 평전: 부조리에 대항한 시민과학자
- 연세대학교는 어떻게 탄생했는가
- 사랑과 돈의 경제학 | 아웅 산 수 치의 평화